[8월 30일] 배윤빈 피아노 반주 리사이틀

2024. 6. 13. 14:56기획공연

 

❝ 배윤빈 피아노 반주 리사이틀 ❞

Bae Yun Bin Collaborative Piano Recital

 

 

‣ 일 시 : 2024년 08월 30일(금) 오후 7시30분

‣ 장 소 : 예술의전당 인춘아트홀

‣ 주 최 : 음악교육신문

‣ 후 원 : 이화여자대학교, 미국 뉴욕대학교(NYU)대학원, 한세대학교 대학원 동문회

‣ 금 액 : 전석 20,000원(학생할인 50%)

‣ 예 매 : 예술의전당 1668-1352, 인터파크 1544-1555 ticket.interpark.com

‣ 문 의 : 음악교육신문 02-549-4133, 1131 www.musiced.co.kr

 

❚PROFILE

피아니스트 배윤빈

파워풀하면서도 섬세한 음악적 표현을 지닌 Collaborative Pianist 배윤빈은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피아노과를 졸업한 후 도미하여 미국 뉴욕대학교(NYU) 대학원 피아노과 석사를 졸업하였으며 귀국 후 한세대학교 대학원 피아노 반주 석사 및 동 대학원에서 피아노 반주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외에도 오스트리아 빈 시립 음대 Lied Academy를 수료하였으며 이태리 피렌체 트릴로 시립 음대에서 오페라 코치 최고연주자 과정을 수료하였다.

한국일보사 소년한국일보, 음악교육신문사, 코리아헤럴드, 음악 춘추 등 국내 유수의 콩쿠르에서 입상, 개천예술제에서 전체대상을 받으며 일찍이 두각을 나타냈으며, 이화여대 재학 당시 피아노의 거장 블라디미르 호로비츠의 생애 마지막 제자인 에두아루드스 할림(Eduardus Halim) 교수의 마스터클래스에서 발탁되어 졸업 후 뉴욕대(NYU Steinhardt)에서 석사과정을 사사하였다. 뛰어난 실력을 인정받아 뉴욕대 재학 시 강사(Piano Adjunct Instructor)로 임명되어 학부 교양과목으로 피아노를 지도했으며, Piano Studies Series <Interstudio Showcase> 연주, An Evening of Chamber Music – The Steinhardt at Saklad Series 드보르작 <Dumky> 챔버 연주, The Art of Solo & Collaborative Piano Festival 참가, Piano Artist Showcase 연주, World Finance Center 쇼팽탄생 200주년 기념연주, Peter Hill Masterclass 참가 메시앙 두오연주, Winston Choi, Anne McDermott Masterclass 참가 연주, NYU Black Box Theatre 피아노 독주회 등 많은 연주를 통해 솔로 피아노와 앙상블 연주에서 모두 실력을 인정받았다.

귀국 후 KNA Trio를 결성하여 2010년 창단연주를 비롯하여 경희대 콘서바토리 초청연주회, 영산아트홀 금요초청 음악회 등 다양한 초청연주회에서 연주하였으며 유니버설 뮤직 콩쿠르 실내악 부분 일반부 1위, 전국 신인 선발 음악 콩쿠르 실내악 부분 일반부 2위를 입상하였다. 그 외에도 서울 펠리체 앙상블, 어바웃콘트라바쓰 앙상블, Virtuoso M Ensemble, 쏠리스트앙상블 피아니스트로 활약하였으며, Virtuoso M 챔버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에서 협연하였다. 이후 PBC평화방송 합창단, 시흥오페라단 오페라 마술피리의 음악감독을 맡으며 성악 반주 분야까지 반주 영역을 넓혀나갔다.

반주과 박사 재학 시 Hansei Collaborative Ensemble 제1회 정기연주회, 영산양재홀 박사 리사이틀 4회, 렉처 리사이틀, 세라믹팔레스홀 독일 가곡 렉쳐 콘서트, 이화여대 음악대학 발전과 화합을 위한 피아노과 & 성악과 조인트 리사이틀을 연주하였으며 2019년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린 쏠리스트 앙상블 제36회 정기연주회에서 합창반주자로 뛰어난 실력을 인정받았다. 박사 졸업 논문인 ‘셰익스피어 시에 의한 9개의 코른골트의 가곡’은 심사위원의 극찬을 받으며 우수한 논문으로 인정받았으며 최초의 코른골트 가곡 박사 논문으로 등재되었다.

2021년 성악앙상블 <Ensemble KADES>를 창단하여 피아니스트이자 리더로 활약 중이며 가곡극 <미르테의 꽃>을 초연하며 가곡 반주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끊임없이 공부하고 연구하는 자세로 박사학위 취득 후 오케스트라 사운드를 한 대의 악기로 연주할 수 있는 엘렉톤을 공부하였으며 현재 엘렉토니스트로 영역을 넓혀 다채로운 전문반주자로서 음악적 행보를 이어나가고 있다. 또한, 최근 소프라노 정주희 독창회 반주를 비롯하여 한국가곡과 독일가곡을 비롯한 CD 앨범을 발매하였다.

경남예고, 한국국제대, 진주교육대학교 피아노 강사, 연세대학교 성악실기 반주강사를 역임한 그녀는 현재 피아노 두오협회 회원, 한국피아노 반주협회 정회원, 앙상블 카데스 피아니스트, 앙상블 그나데 엘렉토니스트로 활동중이며 한국예술종합학교 반주 강사, 삼육대학교 대학원 반주과, 국립강릉원주대학교 및 교육대학원에 출강하며 후학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소프라노 정주희

⦁단국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졸업, 독일 슈투트가르트 국립음대 졸업

⦁스페인 몽쉐라카바예 국제콩쿠르 2위, 독일 보칼게니알 국제콩쿠르 3위, 한전아츠풀 콩쿠르 대상, 스위스 취리히 오페라하우스 스튜디오 합격

⦁독일 뮌헨 라디오 방송 오케스트라, 취리히 국립오페라단 오케스트라, 멕시코 국립 벨라스아르테스 오케스트라, 등 다수 오케스트라와 협연, 오스트리아 브레겐즈 음악 페스티벌 등 유럽의 다수 페스티벌에 초청, 베토벤 <교향곡 9번>, 베르디 <레퀴엠>, 헨델 <메시아>, 하이든 <천지창조> 등 오라토리오 독창자

⦁서울시 오페라단의 <마탄의 사수> 아가테역으로 국내 무대 데뷔, <파우스트>, <돈 조반니>, <멕베드>, <토스카>, 국립오페라단의 <유쾌한 미망인>, <윌리엄 텔>, <한국오페라 70주년 기념 갈라 콘서트>, 부천시립 교향악단의 <라보엠>, 광주 시립 오페라단 <박하사탕> 외 여러 오페라단에서 주역으로 출연, 한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오페라 주역, 오케스트라 협연자 등 전문연주자로 활동 중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역임

현) 단국대학교 초빙교수

 

첼리스트 신호철

⦁예원, 서울예고, 한국예술종합학교 조기졸업

⦁미국 맨하탄 음대 석사 및 미네소타주립대 박사 전액장학생 졸업

⦁Quebec Music Competition,The Master Concerto and Arias Competition, Golden Classic Competition, 중앙, 부산음악콩쿠르, 조선일보신인음악상등 국내외 유수콩쿠르 다수 수상

⦁Kenwood SymphonyOrchestra,KBS교향악단,부산시향,강남심포니,헤이리심포니,협스트링과 협연

⦁Music Academy of the West, Kronberg Academy, Ishikawa Music Festival, Thursday Musical, 예술의전당 여름음악축제, 대관령국제음악제, 헤이리국제음악제, 성공회정오음악회 남해국제음악제등 국내외 음악제 솔리스트 및 실내악연주자 및 교수진으로 활동중

⦁Minnesota Opera Orchestra 첼로 수석역임

현) 서울시립대, 숙명여대, 성신여대,숭실대, 카톨릭성음악아카데미, 예원, 선화예중, 고양예고 출강

 

❚PROGRAM

R. Wagner (1813-1883) Sop. 정주희

Wesendonck-Lieder WWV 91

1. Der Engel (천사)

2. Stehe still! (조용히 멈추어라!)

3. Im Treibhaus (온실에서)

4. Schmerzen (고통)

5. Träume (꿈)

 

 

R. Strauss (1864-1949)

Op. 10 No. 1 Zueignung (헌정)

Op. 10 No. 8 Allerseelen (위령제)

Op. 17 No. 2 Ständchen (세레나데)

Op. 27 No. 2 Cäcilie (체칠리에)

 

 

Intermission

 

 

D. Shostakovich (1906-1975) Vc. 신호철

Sonata for cello and piano in d minor Op. 40

 

 

G. Verdi (1813-1901) Sop. 정주희

Pace, pace mio Dio!(신이여, 평화를 주소서!) Vc. 신호철

from Opera 'La Forza del Destino'(운명의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