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9일] 신재은 이정화 피아노 듀오 콘서트 <한 여름밤의 꿈>

2024. 6. 3. 13:30기획공연

 

신재은 이정화 피아노 듀오 콘서트

<한 여름밤의 꿈>

JAEEUN SHIN & JUNGHWA LEE

PIANO DUO CONCERT

 

 

‣ 일 시 : 2024년 07월 19일(금) 오후 7시 30분

‣ 장 소 : 일신홀

‣ 주 최 : 음악교육신문

‣ 후 원 : 부산예술고등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영국 Guildhall School of Music and Drama, 미국 피바디 음악대학 동문회

‣ 금 액 : 전석 20,000원 (학생할인 50%)

‣ 예 매 : 인터파크 1544-1555 ticket.interpark.com

‣ 문 의 : 음악교육신문 02-549-4133, 1131 www.musiced.co.kr

 

❚PROFILE

Pianist. 신재은

피아니스트 신재은은 개성 있는 음색과 뛰어난 연주력으로 호평받아왔으며, 만 3세 때 띄어난 청음능력을 보이는 계기로 피아노를 시작하였다. 브니엘 예술중학교와 부산예술고등학교를 수석으로 입학 및 졸업하고, 숙명여자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피바디 음대(Peabody Institute of the Johns Hopkins University)에서 석사(Master of Music)와 GPD(Graduate Performance Diploma)를 받았다.

 

어린 시절부터 부산에서 개최된 다수의 콩쿠르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클래식 음악 전문 잡지 '음연'이 주최한 영아티스트 음악제에 참가해 독주회를 열었다. 신재은은 부산 심포니에타와 Bulgaria National Radio Orchestra와 협연했으며, Ma Music Piano Duo를 창단하여 활동했다. 또한, 미국의 Mannes Beethoven Institute Summer Music Festival, Juilliard Summer Music Festival, 오스트리아의 Salzburg Mozarteum Summer Academy, 프랑스의 Ecole Normale de Musique de Paris Summer Music Academy 등을 수료 및 연주하며 음악활동에 대한 연구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미국에서 귀국 후 숙명여자대학교에서 후학을 양성하던 신재은은 이후 런던으로 활동 반경을 넓혀 연주자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런던에서 연주활동을 이어가며 피아노 리사이틀 Burgh House Hall (Hampstead), Kings Place Hall (King’s Cross), Cello duo concert (Notting Hill), Piano Duo Concert (Chelsea) 등 다양한 연주를 하였으며 영국문화원 Korean Culture Center에서 주관한 음악회에서 세계적인 Royal Opera House의 성악가들과 연주하며 활동의 폭을 넓혔다.

 

국내에서는 김승희, 나광자, 권준, 최수윤을, 국외에서는 Benjamin Paternack을 사사한 피아니스트 신재은은 연주자로서 활동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교육자로도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런던에서 London Piano Studio를 오픈하여 획일적인 피아노 훈련이 아닌 아이들이 피아노를 치며 행복해 하는 교육 방법으로 학생들을 가르쳐 왔고, 귀국 후 서울에서도 London Piano Studio의 교육 철학을 이어가며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미취학 아이들이 엄마, 아빠와 함께 클래식 음악을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컨셉으로 "0세부터 함께하는 패밀리 클래식 콘서트" 를 기획하며 연주하는 Bloom Family Concert의 대표를 맡고 있다.

 

Pianist. 이정화

깊이 있는 곡의 해석을 기반으로 섬세한 테크닉과 진정성 있는 연주로 관객들에게 따뜻한 감동을 전하는 피아니스트 이정화는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교 피바디 음대 (Peabody Institute of the Johns Hopkins University)를 매학기 최우수 성적을 받으며, Dean’s List with High Honors로 선정되어 졸업하였다.

일찍이 다수의 국내외 유수 콩쿠르에서 1위를 석권하며 그 기량을 인정받은 그녀는 경기도 장학생으로 선발, 경기도 교육감상 수상과 ASIA International Summer Piano Academy & Festival (Chamber Piano Music Part)을 수상하며 음악적 두각을 나타냈으며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 인춘아트홀, 금호아트홀 연세, 미국 Carnegie Hall, Cohen-Davison Family Theatre, Hilda and Douglas Goodwin Recital Hall, Leith Symington Griswold Hall, Miriam A. Friedberg Concert Hall 그리고 영국 North Western Reform Synagogue 등에서 다수 독주회와 다양한 연주회로 무대에 올랐다. 특히, 2024년에는 영국 런던 Barbican Milton Court Concert Hall에서 독주회와 Holst 150주년 기념 듀오 피아노 연주가 예정되어있는 등 활발한 연주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불가리아 The Vratza City Concert Hall에서 Bulgaria Orchestra Sinfonietta Vratza와, 폴란드 Artur Malawski Podkarpackie Philharmonic in Rzeszów Concert Hall에서 Symphony Orchestra of the Artur Malawski Podkarpackie Philharmonic in Rzeszów 와 협연한 그녀는 국외에서 Barbican Milton Court Concert Hall Duo Piano 연주, Peabody Chamber Ensemble 연주, Peabody Duo Piano 연주, Maryland and Washington DC Festival 초청 연주, Maryland 한인 연합 초청 연주, Interclassic International Piano Academy & Festival 연주, 독일 베를린 국립음대, 하노버 국립음대, 한스 아이슬러 국립음대에서 연주, 국내에서는 존스홉킨스 대학 피바디 음대 동문 연주, 음악교육신문사 초청 솔로 리사이틀, 음악교육신문사 초청 영 아티스트 연주, 이원문화재단 초청 영 아티스트 연주, 음악교육신문사 초청 신인 유망주 연주, 음악교육신문사 초청 신인 아티스트 연주, 용인시 주최 초청 연주를 통해 피아니스트로서의 입지를 다져왔다.

 

국내에서는 손은정, 안미현, 국외에서는 Ellen Mack, Ronan O’Hora, Laura Roberts를 사사한 피아니스트 이정화는 최근 영국 Barbican Milton Court Concert Hall 에서 성황리에 독주회를 마쳤으며 국내외에서 전문연주자로서의 행보뿐만 아니라, Washington D.C, Virginia 연합 합창단 전임 반주자, Maryland 기독교 연합 합창단 전임 반주자, 수원시 장애인 복지 재단과 함께하는 힐링 콘서트 전임 연주자, 한신대학교 힐링 콘서트 연주 및 채플 강사를 역임함으로서 끊임없이 활동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영국 길드홀 음악 연극 학교 (Guildhall School of Music and Drama)에서 Financial Award for Guildhall Artist Masters장학금을 수여 받았으며, Guildhall Artist Masters과정을 올해 졸업 예정에 있는 그녀는 2025년 1월 금호아트홀 연세에서 독주회가 예정되어있으며, 넓은 학문과 끊임없는 노력으로 다양한 음악적 역량을 쌓아가 자신만의 음악영역을 구축하고 있다.

 

 

❚PROGRAM

Piano Sonata no. 16 in C Major, for Two Pianos K.545 (1788) W. A. Mozart/E. Grieg

I. Allegro

II. Andante

III. Rondo

 

Jupiter form “The Planets” Op. 32 for 2Pianos 4Hands G. Holst

 

INTERMISSION

 

Fantasy for 2Pianos 4Hands in f minor, D. 940 F. Schubert

I. Allegro molto moderato

II. Largo

III. Allegro vivace

Ⅳ. Con delicatezza

Ⅴ. Final(Tempo primo)

 

Scaramouche Op. 165b D. Milhaud